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나만 몰랐던_ 내 집 마련할 때 알아두면 좋은 사이트 대공개!

by 콩장수 2023. 2. 16.
반응형

내 집 마련의 꿈! 저처럼 월세, 전세로 남의 집에 살고 있는 사람에겐 꿈만 같은 일이죠!

한 땐 너무 올랐고, 지금은 어디까지 떨어질까 걱정에 매수하기가 쉽지 않죠. 이러다가 평생 무주택자로 사는 건 아닌지 걱정이 앞서기만 합니다. 정보가 힘이 되는 시기, 그래도 알아야 할 건 알아야죠. 오늘 포스팅 할 내용은 내 집을 마련할 때 알아두면 좋을 사이트를 소개하려고 합니다. 예전에 혼자 공부하려고 정리한 내용이라 반말로 작성된 점 너그러히 양해 부탁드려요!!

 

나만 몰랐던_ 내 집 마련할 때 알아두면 좋은 사이트!

 

국토교통부 (www.molit.go.kr)

 

부동산은 토지의 공개념 때문에 일반 재화와 동일하게 취급하면 안된다. 우리가 거래하려는 곳이 규제를 받기도 하고, 매매가 자유롭지 못한 곳도 있다. 그리고 최근 바뀐 법령도 확인할 수 있다. 이런 것을 제대로 확인하려면 국토해양부 사이트에 가서 확인을 해야 한다.  국토교통부에는 정책자료 및 보도자료를 확인할 수 있어서 적시성 있는 정보를 취득하는 데 도움이 된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 (http://rt.molit.go.kr/)

매매 실거래 공개는 2006 1월부터 매매부터 전월세까지 공개 대상으로 지정하고 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 (http://rt.molit.go.kr/)

 

사이트에 들어가면 위의 그림처럼 원하는 지역의 대상 물건을 클릭해서 연도별 거래금액을 확인할 수 있다. 내가 사는 가격이 합리적인 가격인지 최근 거래 사례를 비교할 수 있어서 도움이 된다.

 

 

부동산 시세사이트

부동산을 매매하거나 전월세를 희망하는 경우, 매물을 찾기 위해 해당 지역을 돌며 공인중개사를 찾아다니는 것은 참 힘이드는 노릇이다. 매물 정보를 알려주는 사이트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이 가능하다. 대표적으로 네이버부동산(land.naver.com)과 부동산114가 있다.

 

 

토지이음 (http://www.eum.go.kr/)

토지는 일반 재화와 구별되는 성질이 있어 사적 권리에 대한 공적 규제가 이루어진다. 내가 원한다고 해서 토지에 건물을 마음대로 높은 건물을 짓거나, 원하는 용도로 자유롭게 이용하지 못한다. 애써 토지를 구입을 했더니 여러 규제로 사용을 하지 못하는 불상사가 생기기도 한다. 이런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해당 토지에 대한 규제 정보를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

 

토지이음 (http://www.eum.go.kr/)

토지이음 사이트에 접속하여 원하는 지역의 주소를 입력하고 열람을 하게 되면, 해당 지역의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토지이음 (http://www.eum.go.kr/)

 

토지이음 (http://www.eum.go.kr/)

해당 지역의 국계법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을 줄여서 국계법이라 부르겠다) 에 따른 지역, 지구 및 다른 법령에서 정한 지역, 지구 등을 확인할 수 있으며, 스크롤을 내리면 해당 지역의 건축법 및 국계법 내용을 확인 할 수 있다. 해당 지역,지구에서의 행위제한내용을 볼 수 있다. 지역,지구마다 건축법 및 국계법 상의 제한 내용을 상세히 볼 수 있다

 

 

청약홈(https://www.applyhome.co.kr)

우리가 아파트를 사는 방법은 기존 주택을 구입하던지, 아니면 새로 짓는 아파트에 청약을 넣어야 한다. 청약은 분양하고 있는 새 아파트를 주변 시세보다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는 장점이 많아서 경쟁률이 높은 편이다. 은행에 가서 청약 통장을 만들어 놓고, 저축목적으로만 사용하는 사람들이 많다. 내 집 마련이라는 원대한 계획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언제나 청약홈을 예의 주시하자. 청약홈은 주로 민간 분양을 다루고 있다.

청약홈(https://www.applyhome.co.kr)

청약홈은 기존 청약시스템 사이트인 금융결제원의 아파트투유의 업무를 이관받아 새롭게 오픈한 사이트이다. 청약홈에 들어가서 [청약 일정 및 통계] -> [청약 캘린더(청약일정) 메뉴에서 청약 일정을 확인할 수 있다.

 

청약홈(https://www.applyhome.co.kr)

 

 

 

 

 

LH청약센터 (https://apply.lh.or.kr/)

청약홈이 민간분양을 다루었다면, 이곳에서는 공공분양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분양임대 정보]-> [공급계획] 메뉴로 들어가서 살펴보면 공공 분양 공급 계획을 확인할 수 있는데, 좀 더 자세하게 확인하려면 [분양,임대공고문]을 통해 확인하면 된다.

 

LH청약센터 (https://apply.lh.or.kr/)

 

 

SH서울주택공사 (https://www.i-sh.co.kr/)

 

SH서울주택공사 (https://www.i-sh.co.kr/)

 

그 밖에 분양정보를 제공하는 사이트로 닥터아파트,분양알리미,호갱노노를 들 수 있다.

 

대법원 인터넷등기소

우리가 집을 사거나 세를 얻게 되면, 소유자 및 권리관계를 확인하기 위해서 등기부등본을 열람한다. 인터넷을 통해서도 열람할 수 있는데, 바로 대법원 인터넷등기소에서 해당 자료를 제공한다

 

경매 및 공매 관련 사이트

경매 관련 정보는 여러 사이트에서 제공을 하고 있지만, 무료로 이용가능한 사이트가 있는데, 법원경매정보(countaution.,go.kr), 온옥션(www.onaution.co.kr) , 리츠옥션(reitsaution.co.kr) 이 대표적이다. 공매는 온비드(www.onbid.co.kr)에서 제공한다.

 

부족한 제 블로그를 찾아주시고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방문하시는 모든 분들에게 행복이 함께 하셨으면 좋겠네요. 더 좋은 글로 찾아뵐게요. 지난 발행글에도 혹시 도움이 될 만한 글이 있을지 모르니, 시간이 되신다면 함께 읽어주세요 ^_^
반응형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혹시 '프롭테크'를 아시나요?  (7) 2023.02.12

댓글

콩장수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